Surprise Me!

[앵커리포트] 보궐선거 앞두고 '갑론을박'...공매도가 뭐길래 / YTN

2021-01-12 2 Dailymotion

"영원히 공매도를 금지해달라" <br /> <br />청와대 국민청원에 올라온 글인데요. <br /> <br />13일째인 오늘 아침 기준, 7만9천 명이 넘는 사람이 동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매도, '없는 걸 판다'는 말 그대로, 없는 주식을 빌려 팔아 현금을 만들고, 일정 시기 뒤에 주식 숫자대로 사들여 갚는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예를 들어 한 주에 5만 원짜리 주식을 공매도로 10주 빌렸고, 바로 팔았다면 현금 50만 원이 생겼겠죠. <br /> <br />이후 언젠가는 똑같은 수의 주식으로 갚아야 하는데 30일 뒤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그사이 A 주식이 한 주에 5만 원에서 3만 원으로 떨어졌다면 A 주식 10주 사는 데 30만 원이 듭니다. <br /> <br />처음 A 주식 팔아 생긴 50만 원에서, 되사는데 들어간 30만 원을 뺀 20만 원이 수익이 되는 겁니다, 물론 수수료나 이자 비용은 들겠지만요. <br /> <br />반면 주식 가격이 예상과 달리 오르면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5만 원짜리 주식 10주를 공매도 형식으로 빌려 바로 팔았는데, 그 주식을 갚아야 하는 시점에 가격이 한 주에 7만 원으로 올랐다면 주당 2만 원씩, 20만 원 손해를 보게 됩니다. <br /> <br />채권이나 외국 돈, 원유 같은 파생상품 시장에서도 이런 '공매도'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개인 투자자도 공매도할 수는 있지만, 빌린 주식을 다시 갚아야 하는 기간이 짧습니다. <br /> <br />보통 30일에서 90일 정도이고 만기 연장도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기관이나 외국인은 3~6개월, 길게는 1년 정도로 빌린 주식 갚는 기간이 넉넉하고 공매도 가능한 금액도 개인 투자자보다 큽니다. <br /> <br />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인데요. <br /> <br />특히 공매도 이후 '하락'이라는 결과를 만들기 위해 일부러 주식을 많이 내놓거나 해당 기업에 대한 나쁜 전망을 쏟아내는 '시장 교란 행위'를 개인 투자자는 우려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3월,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는 금지됐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로 인한 주식시장 충격을 고려한 한시적인 조치였는데요. <br /> <br />오는 3월 15일 이 조치가 종료되는데 정치권에서도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서울과 부산시장 같은 큰 선거 앞두고 있어 셈법이 더 복잡합니다. <br /> <br />[양향자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(어제) : 오랜 시간 박스권에 머물던 코스피가 공매도가 금지된 지난 1년 동안 가파르게 상승한 것도 이런 불안감 부추기는 것으로 보입니다. 공매도 금지 연장을 심각하게 고민해봐야 합니다.] <br /> <br />[성일종 / 국회 정무위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11213052237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